Language/WEB (2) 썸네일형 리스트형 [JSP]한글 인코딩 기본적으로 웹 페이지를 개발할 때 한글로 만들게되면 한글이 깨지게되는 상황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글을 처리하는 부분에는 어떤 방법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1. JSP에서 위처럼 JSP페이지 내에서 한글을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태그내에서 contentType속성에서 charset을 설정해 줄 수 있고 태그를 사용하여 java코드로 인코딩을 지정해 줄 수 있다. 또 meta태그에서도 설정해 줄 수 있다. 2. Java 자바 코드 내에서도 처리할 수 있는데 mvc패턴을 이용하여 개발 할 경우 기능을 처리해주는 action클래스에서 매개변수로 받은 request에 인코딩타입을 설정해 줄 수 있다. 3. spring spring framework에서의 한글 처리는 위와 같은 방법도 사용할 수 있고 이처럼 web... HTTP 코드 웹 서핑을 하거나 쇼핑/티켓팅을 할 때 "서버가 터졌다." 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개발자로써 웹을 개발할 때 이러한 http코드들을 볼 수 있다. 가장 많이 보고 접할 수 있는 에러로는 404 / 500 에러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에러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글을 작성하였다. 1. 404 에러 먼저 404에러에 대해 살펴보면 404 error는 page not found 라는 문구와 함께 화면에 보여지는데 이는 주소를 잘못 입력하였거나 해당 페이지가 삭제되어 경로에 문제가 생겼을때 발생하는 에러이다. 위와 같이 네이버에서 /dictionary라는 파일/페이지를 찾으려 할 때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네이버에서 만든 에러페이지를 보여준다. 톰캣서버로 실행하였을때 에러.. 이전 1 다음